전체 글 393

민영환 선생 묘

민영환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18호 용인시 기홍구 마복동 347 구성초등학교 뒤편 이곳은 을사늑약에 거해 자결한 총정공 민영한 (1851~1905)선생이 안장된 묘역이다. 그는 당시 최고 세도가였던 여흥 민씨척족의 일원으로 1878년 문과에 급제한 후, 승진을 거듭해 도승지 형조판서 한성부운 등 요직을 맡았다. 이후 1897년 특명전권공사로 제정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 참석하는데, 이때 당시 여러 열강을 방문해 개화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독립협회를 후원하며 근대적 개혁을 시도했지만 친일세력에 의해 파직되기도 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반대상소를 수차례 올렸으나 일제에 의해 실패하고, 등포와 각국 공사들에게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망국의 책임을 안고 자결한 충정공..

구성동 구성초등학교 입구까지

제3길 구성현길 구성동고구려가 지은 용인 최초의 지명 고구려의 유산, 용인시의 행정지명'구성'의 의미" 고구려는 백제의 영지를 자국에 편입하게 되면서 그곳을 "구성"으로 명명했습니다. 이 용어의 의미는 우리말의 고어에서 "크다"라는 뜻의 "말아"와 "마라" 또는 "말"이라는 단어와 연결지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고구려 사람들이 자연환경을 단순히 묘사하는 것을 넘어 크고 높은 성(성곽)을 나타내기 위한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구성"은 큰성(대성)이나 마라재(높은 곳)의 의미를 내포하며, 이것이 유용한 지형을 가진 곳으로서 백제의 영토를 편입하게 된 곳을 뜻합니다. 이후 이 용어는 고구려의 구성에서 유래된 것으로, 용인시의 최초 행정지명이 되었습니다. 이름에 담긴 의미는 그 자체로 우리 역사의 유산..

마북리 석불입상 및 석탑

마북리 석불입상 및 석탑용인시 향토유산 석불입상은 현재 용화전이라는 전각 속에 봉안되어 있다. 전각 바로 좌측면에는 남아있는 부재를 모아 건립한 탑 1기가 있고, 그 앞에는 2열로 선정비들이 늘어서 있다. 탑재는 파탑이 되어 쓰러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세운 것으로 쌓아놓은 석재 중에 다른 석재가 포함된 것으로 생각된다. 앙련이 조각된 1층 옥개석 위에 얹혀져 있는 방형 석재는 대좌형 기단의 상대석으로 보이는데 이상대석의 뒷면에 치석된 옥신과임의 폭이 1층 옥신의 폭보다 좁아 같은 석조물의 부재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용화전은 좌우 각 한 칸의 건물에 전면을 제외한 삼면은 자연석을 이용한 방화담이 설치되어 있고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이곳은 현의 치소가 있던 마을의 어구이며 터가 드센 곳이여서 터의 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