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93

삼남길 제 6길 화성효행길

화성효행길(배양교 ~ 세마교)아버지 사도세자를 향한 정조의 효심이 깃든 길! 배양교부터는 화성시로 접어듭니다. 황구지천변의 들판을 따라가면 용주사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한 정조의 마음이 깃든 용주사는 화성을 대표하는 사찰입니다. 용주사에서 다시 남쪽으로 독산성을 바라보면서 길을 재촉하다보면 세마교에 도착하게 됩니다. 코스 자체는 짧은 편이지만 용주사에서 버스를 타고 갈 수 있는 융·건릉에도 무척 훌륭한 도보길이 있으므로 잠시 짬을 내어 꼭 한 번 가보시길 권합니다.경기옛길 (ggcr.kr) 경기옛길경기옛길 - 역사문화탐방로 경기옛길 소개, 도보여행, 역사, 문화유산, 운영프로그램 등 정보 제공.ggcr.kr

중복들과 중복들길 끝점

제5길 중복들길중복들길 중보와 평야에서 유래된 이름  자연환경과 역사가 만들어낸 아름다운 지역 이름 '중복들길과 그 주변 지명의 유래는 지역의 풍부한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삼남길의 다섯번째 길인 '중복들길'은 고색동 인근의 지명인 '중복들'에서 딴 것입니다. 이 지역에는 중보가 있다 하여 예로부터 중보평 혹은 중봇들이라고 불려 왔습니다. 또한, 평동이라는 지명 역시 평야와 관련이 있는 이름입니다. 이 지역은 넓은 평야와 물이 풍부한 지역으로서 벌말, '들말, '평리' 등으로 불려져 왔으며, 이러한 지명들이 결국 평동으로 연결되었습 니다. 이러한 지명들은 지역의 자연 환경과 역사를 반영하고 있으며, 그곳의 풍부한 자원과 특징을 나타내는 데 사용 되었습니다. 이런 지명들은 지역의 아름다움과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