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 238

민영환 선생 묘

민영환선생 묘 경기도 기념물 18호 용인시 기홍구 마복동 347 구성초등학교 뒤편 이곳은 을사늑약에 거해 자결한 총정공 민영한 (1851~1905)선생이 안장된 묘역이다. 그는 당시 최고 세도가였던 여흥 민씨척족의 일원으로 1878년 문과에 급제한 후, 승진을 거듭해 도승지 형조판서 한성부운 등 요직을 맡았다. 이후 1897년 특명전권공사로 제정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 참석하는데, 이때 당시 여러 열강을 방문해 개화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독립협회를 후원하며 근대적 개혁을 시도했지만 친일세력에 의해 파직되기도 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반대상소를 수차례 올렸으나 일제에 의해 실패하고, 등포와 각국 공사들에게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망국의 책임을 안고 자결한 충정공..

구성동 구성초등학교 입구까지

제3길 구성현길 구성동고구려가 지은 용인 최초의 지명 고구려의 유산, 용인시의 행정지명'구성'의 의미" 고구려는 백제의 영지를 자국에 편입하게 되면서 그곳을 "구성"으로 명명했습니다. 이 용어의 의미는 우리말의 고어에서 "크다"라는 뜻의 "말아"와 "마라" 또는 "말"이라는 단어와 연결지어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고구려 사람들이 자연환경을 단순히 묘사하는 것을 넘어 크고 높은 성(성곽)을 나타내기 위한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구성"은 큰성(대성)이나 마라재(높은 곳)의 의미를 내포하며, 이것이 유용한 지형을 가진 곳으로서 백제의 영토를 편입하게 된 곳을 뜻합니다. 이후 이 용어는 고구려의 구성에서 유래된 것으로, 용인시의 최초 행정지명이 되었습니다. 이름에 담긴 의미는 그 자체로 우리 역사의 유산..

마북리 석불입상 및 석탑

마북리 석불입상 및 석탑용인시 향토유산 석불입상은 현재 용화전이라는 전각 속에 봉안되어 있다. 전각 바로 좌측면에는 남아있는 부재를 모아 건립한 탑 1기가 있고, 그 앞에는 2열로 선정비들이 늘어서 있다. 탑재는 파탑이 되어 쓰러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세운 것으로 쌓아놓은 석재 중에 다른 석재가 포함된 것으로 생각된다. 앙련이 조각된 1층 옥개석 위에 얹혀져 있는 방형 석재는 대좌형 기단의 상대석으로 보이는데 이상대석의 뒷면에 치석된 옥신과임의 폭이 1층 옥신의 폭보다 좁아 같은 석조물의 부재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용화전은 좌우 각 한 칸의 건물에 전면을 제외한 삼면은 자연석을 이용한 방화담이 설치되어 있고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이곳은 현의 치소가 있던 마을의 어구이며 터가 드센 곳이여서 터의 기를..

탄천따라 - 대지교에서 구성역 플랫폼시티까지

죽전동정몽주 선생의 이야기가 살아있는 고장 죽전동은 수지읍 소재지의 풍덕천 동쪽에 위치합니다. 이곳은 본래 용인군 수진면(옛 수지면의 이름)의 지역으로서 큰 못이 있어 대지 또는 죽전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감바위, 점촌, 풍덕내 일부를 병합하여 죽전리라 해서 읍삼(구성)면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1983호에 의하여 다시 수진면에 편입되었습니다. 이곳 지명 유래는 이곳으로부터 약 10리 되는 모현면 능원리에 있는 포은 정몽주 선생의 묘소와 관계가 깊습니다. 당시 정몽주 선생의 시신은 개서 근처 풍덕이라는 곳에 모셔졌습니다. 19년 뒤인 1411년(태종11년 신묘) 선생의 고향인 경상도 영천으로 이장하기 위해 풍덕천에 이르렀는데, 갑자기 돌풍이 일어나 상여에 영정..

구성현길 첫 곳이자 낙생역길 끝 곳

새터어린이 공원영락장생지지에서 유래한 낙생역! 풍수지리가 좋아 영락장생지지라고 불린 조선시대 역원 낙생역이 있던 길입니다. 대한민국 1기 신도시인 분당의 심장 분당구청에서 시작하여 넓고 쾌적한 중앙공원을 만나게 되고 중앙공원에 잘 보존된 한산 이씨의 고가를 지나면 도심속의 녹지를 따라 지역민에게 사랑 받는 산책로인 불곡산 숲길로 진입합니다. 녹음이 우거진 불곡산유 따라가다 보면 성남을 지나 용인에 이르게 됩니다.  고구려에서 이름지은 옛 용인의 중심 구성현! 이곳은 삼국시대에 용인이 고구려에 권입되면서 중심지가 되었던 지막입니다. 현재는 기흥구에 관입되어 행정동으로 바뀌었지만, 아직도 옛 용인의 중심었던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탄천을 거져 구성역을 지나면 마북동 석불입상과 을사늑약의 체결을 반대하여..

제 3길 구성현길

구성현길(불곡산출구(무지개마을) ~ 동백호수공원)고구려에서 이름지은 옛 용인의 중심 구성현구성현은 삼국시대에 용인이 고구려에 편입되면서 옛 용인의 중심지가 되었던 지역입니다. 현재는 기흥구에 편입되어 행정동으로 변화하였지만 영남길을 걷다보면 아직도 옛 용인의 중심이었던 흔적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탄천을 거쳐 구성역을 지나면 잘 보존된 마북동 석불입상과 을사늑약 체결을 반대하며 자결한 민영환의 묘소를 마주칩니다. 조금 더 옛 용인의 중심으로 들어가면 용인향교와 옛 구성의 영화를 보여주는 구성동 주민센터가 보입니다. 여기서 고즈넉한 법화산의 숲길을 지나면 용인의 새로운 신도시로 각광받는 동백지구의 호수공원으로 도착할 수 있습니다.

6.25 전사자 유해발굴지부터 새터어린이공원까지

6.25 전사자 유해발굴 기념지역 (제7호)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불곡산)전투명 : 썬더볼트 작전당신들의 고귀한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이곳 불곡산은 1951년 1월 25일부터 2월 10일까지 미 1• 9군단, 국군 1• 6사단과 터키 여단이 수리산~불곡산~앵자봉~여주를 연하여 한강이남지역에서 종심깊이 실시하는 파괴적 위력수색작전인 『썬더볼트 작전」을 했던 역사적인 장소입니다. 육군 제55 보병사단은 2013년 7월부터 2014년 7월까지 「6.25 전사자 유해발굴 사업」을 통해 국군 전사자 유해 4구, 수통 및 M1탄약 등 유품 45점을 발굴하여 뒤늦게나마 조국의 품인 국립 현충원에 모실 수 있었습니다.경기도와 성남시, 제55 보병사단은 후손들에게 떳떳하게 내 조국, 내 강토를 물려주고, 호국..

대지산 갈림길까지

웃는 와당최길하어느 핸가 삼동이 가고 눈 녹은 낙수물과 떨어져 씨앗이 된 그러고도 전년이 흘러 깨어진 와당 한 조각 오늘 내 웃음과 맛춰본다  골 깊은 그늘에 앉아 집동새 우는 봄밤, 구름 속 열 하룻달이 꼭 그 와망 닮았네바위도 이런 봄밤엔 둥실둥실 떠도는 전설 저마 끝에 환한 웃음을 걸어두고 져다보면기와 굽단 그 장인은낙동강 굽이였을까?아내도 다 내줘버린 처용의 동서였을까?제2길 낙생역길 불곡산과 한국전쟁 장병의 희생과 썬더볼트 작전 국가와 동료들을 위해 포기하지 않는 의지와 역사적 의미 2013년 6월 20일, 한국의 불곡산에서 뜻밖의 발견이 있었습니다. 그곳에서는 한국전쟁 때 전사한 장병으로 추정되는 유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소식은 많은 이들에게 감동과 함께 고찰의 시간을 안겨주었습니다. 불곡산..

불곡산 정상까지

불곡산불곡산(佛谷山)은 경기도 성남시와 광주시 사이에 있는 높이 345m의 산이다. 산 이름이 한자가 똑같아 경기도 양주의 진산(鎭山)인 불곡산(佛谷山·470m)과 혼동되는 산이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과 경기도 광주시 능평동에 걸쳐 있는 산으로 경기도 광주시 문형동에 있는 문형산(文衡山, 497m)과 함께 굴곡진 산세를 이룬다. 검단산의 광주산맥과 남한산의 남한산맥으로 연결되는 산이다. 참고로 예전에는 문형산 일대를 포괄적으로 문형산맥이라칭하였다. 분당 지역의 옛지명에서는 큰절골과 작은절골 등에 절터가 있으므로 불곡산이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또 정자동 웃마을 주민들이 이 산을 성스러운 산으로 여기고 산신제를 지낸 것에서 유래하여 성덕산(聖德山)이라고도 하고, 현지에서는 효종산(孝鐘山)이라고도 한..

맹산공원 그리고 수내근린공원

맹산공원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동에 위치한 근린공원.맹산공원은 중앙공원, 당골공원과 이어져 있으며 불곡산 등산로와 연결되어 있어 등산객들에게 휴식처를 제공한다. 공원 면적은 103,828.1㎡이다.맹산공원은 주택가에 인접하고 있어 인근 주민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불곡산을 등산하는 시민들이 쉼터로 이용하는 공원이다. 시설물은 기반, 조경, 휴양 시설로 파고라 일반 5개소, 정자 1개소, 의자 39개가 있고 유희, 운동 시설로는 다목적 운동장 1개소, 운동 기구 34개가 있다. 편익 시설로 화장실 1동이 있으며 관리 시설로는 휀스 28m, 공원 등 33개, 램프 67개, 안내판 5개가 있다.맹산공원은 1997년에 조성된 공원으로 불곡산 인근에 위치해 자연숲 분위기를 이루고 있어 인근 주민들이 산책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