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길 화성효행길 승무
용주사와 시인 조지훈
민중의 목소리를 담은 '얇은 사 하이얀 고갈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한국의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조지훈의 "승무"는 그의 창작 과정과 작품의 의미로서 중요한 순간을 기록한 작품입니다. 조지훈은 1939년에 서울 혜화전문학교에서 공부하던 중에 용주사에서 큰 재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그는 호기심과 기대감을 가지고 용주사를 찾아가서 "승무"라는 무용을 관람하게 됩니다.
이 무용을 보고 느낀 감동과 여운은 그의 내면에서 큰 영감을 불러일으키게 되었습니다. 그는 그 감동을 시로 표현하고자 결심했는데 그 중 "얇은 사 하이얀 고갈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라는 구절은 시의 핵심이자 민중의 목소리를 담아낸 핵심 구절이었습니다.
"승무"는 조지훈의 민족적 정체성과 민중의 소리를 대변하는 작품으로 손꼽히게 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그의 예술적 역량과 독창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정치적 문제에 대한 염원을 표현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국내외에서 큰 주목을 받아 조지훈은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로 떠오르게 되었습니다.
본래 용주사는 신라 문성왕 16년(854년)에 창건된 갈양사로써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후 폐사되었다가 조선시대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습니다.
28세의 젊은 나이에 부왕에 의해 뒤주에 갇힌 채 8일만에 숨을 거둔 사도세자의 영혼이 구천을 맴도는 것 같아 괴로워 하던 정조는 보경스님으로부터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설법을 듣게되고 이에 크게 감동, 부친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절을 세울 것을 결심하면서 경기도 양주 배봉산에 있던 부친의 묘를 천하제일의 복지(福地)라 하는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릉원(뒤에 융릉으로 승격)이라 하고, 보경스님을 팔도도화주로 삼아 이곳에 절을 지어 현릉원의 능사(陵寺)로서 비명에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습니다. 불교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억압을 당하고 있던 당시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세웠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낙성식날 저녁에 정조가 꿈을 꾸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했다 하여 절 이름을 용주사라 불렀고 그리하여 용주사는 효심의 본찰로서 불심과 효심이 한데 어우러지게 되었습니다. 전국 5규정소(糾正所:승려의 생활을 감독하는 곳) 중의 하나가 되어 승풍을 규정했으며, 팔로도승원(八路都僧院)을 두어 전국의 사찰을 통제했습니다.
또한 일찍이 31본산의 하나였으며 현재는 수원, 용인, 안양 등 경기도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100여개의 말사, 암자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현재 절의 신도는 약 7천여 세대에 달하며 정기, 비정기적으로 많은 법회가 이루어지고 또 법회를 통해 교화활동을 행하고 있습니다. 용주사는 이와 같은 수행자들이 모여 면벽참선하면서 진리를 찾고 한편으로는 다양한 대중포교 활동을 통해 부처님의 지혜를 전하며, 또한 정조의 뜻을 받들어 효행교육원을 설립, 운영을 통해 불자교육을 서원으로 일반인도 누구든지 쉽게 공감할 수 있는 효행교육으로 불교신행관과 인성교육을 사회로 회향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경기옛길 > 삼남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구지천과 화성효행길 끝점 그리고 독산성길 시작점 (0) | 2024.06.29 |
---|---|
만년제 (0) | 2024.06.29 |
융릉과 건릉 (0) | 2024.06.29 |
배양길 따라 오늘 하루도 당신거에요 (0) | 2024.06.29 |
삼남길 제 6길 화성효행길 (0) |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