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옛길/영남길

천림산 봉수지

나들나들 2024. 7. 12. 17:55

봉수는 밤에는 볼, 낮에는 연기를 입해 국기 지역의 긴급한 군사정보를 풍상에 알리면 옛 통신 수단이다.

조선 시대 풍수 노선은 함경도 경흥, 경상도 동래, 정말도 광계, 평안도 의주, 전라도 순천 등 5개로 세종 대에 정비되어 고통 31년(1894) 가지 유지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봉수는 평상시 매일 이른 시간에 국경 지역에서 시작하여 봉수 노선을 따라 당일 초저녁이던 서울 목멱산(현재의 남산)에 도달했다고 한다.

봉수는 평화로을 때 1개, 적이 나타나면 2개, 적이 경계에 접근하면 3개, 경제를 침범하면 4개, 경제에서 아군과 전투를 벌이면 5개의 신호를 올렸다. 이 중 평화로울 때 올리는 1개의 봉수를 평안화 혹은 태평화라고도 불렀다.
천력산복수는 동래 다대포진에서 시작한 봉수 신호를 용인 석성산 봉수로부터 전달받이 최종 목적지인 서울의 목멱산 봉수에 전달하였다. 

이 봉수에는 봉수군 25명이 배정되었으며 5명이 조를 이루어 6일씩 돌아가면서 근무하였다.

시기에 따라 월천현(月川峴) 봉화, 천천산(穿川山) 봉수, 천천현(穿川峴) 봉수 등으로 불리다가 조선 후기부터 천림산봉수로 불렸다.
2000년 지역 주민의 제보 파라 청계산 자락인 현재의 위치에서 봉수터를 발견하게 되었다. 

발굴 조사를 통해 연조(煙竈), 연기나 횃불을 올리기 위해 불을 피우는 시설, 방호벽, 담장 등과 봉수군들이 사용하던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발굴된 봉수터는 학술 연구를 통해 문헌기록상 성남 지역에 있었다고 알려진 천림산봉수로 추정되어 명칭을 정하였다. 

조사 결과 5개 연조의 하부 구조가 확인되고 보존 상태가 좋아 2002년 9월 경기도 기념물 제179호로 지정되었다. 

2019년 4개의 연조와 방호벽, 담장 등이 복원되었으며 1연조 구역은 발굴 당시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였다..

*연조(煙竈) :연기나 횃불을 올리기 대해 불을 피우는 시설

'경기옛길 > 영남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교박물관과 판교 역사공원  (0) 2024.07.12
천림산 봉수지 입구에서 성내미마을까지  (0) 2024.07.12
달래내고개길 첫 곳  (0) 2024.07.12
영남길 제 1길 달래내고개길  (0) 2024.07.08
영남길 코스  (0) 2024.07.08